STORY

베투키만이 알려 주는 우리 아이
영양 관련 정보를 알아보세요

STORY

베투키만이 알려 주는 우리 아이
영양 관련 정보를 알아보세요

우리 아기 수면을 방해하는 원인

안녕하세요.
오늘은 아기가 낮잠을 잘 때
생기는 수면 장애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것들을
여러 가지 알려드릴게요 :)


잠에 못 드는 경우 

우리 아기가 유독 낮잠에 드는 걸
어려워하는 것 같으면,
아기가 잠에 못 들지 못하는 주원인을 파악해 보세요.
대부분의 원인은 소음이나 빛, 장난감,
약, 텔레비전 소리 등으로 인한
자극을 많이 받은 경우나,
잠텀(깨어있는 시간)이 너무 짧았거나,
또는 너무 많이 잔 경우 피곤해서 못 잘 수 있어요.



자야 할 때를 놓쳐서 못 자게 되면
각성 상태에 이르게 돼요.
그때 스트레스 호르몬인 코르티솔이 분비가 되어
더욱 잠에 들기 어렵게 만들어요!


  • 각성 호르몬 '코르티솔'

코르티솔은 신장(콩팥) 바로 위에 있는
부신 피질에서 분비되는 각성 호르몬이에요.
잠이 들면 몇 시간 후부터 분비되기 시작하고,
특히 아침에 많이 분비돼서 잠을 깨우는 역할을 해요.
그러나 코르티솔이 아침이 아닌
잠에 들어야 할 시간에
많이 분비가 되면 문제가 생겨요.
신체 교감 신경을 활성화시켜서
몸을 긴장 상태로 만들고,
잠에 들기 어렵게 만들 수 있어요.
낮잠에 못 들면 밤에라도 잠을 잘 자겠지 싶지만,
사실은 코르티솔이라는 호르몬 때문에
밤에 자는 것도 어려워요.
수면을 통해 코르티솔 호르몬 수치가 낮아지므로
우리 아이가 잠에 쉽게 들 수 있는 수면 의식이나
조용한 놀이를 통해 재우려는 노력을 해주세요!


낮잠을 너무 길게 자는 경우 

만약 아이가 낮잠을 2시간 30분 이상
길게 자는데, 밤잠도 힘들어하지 않고
잘 잔다면 문제없어요.
그러나 길어지는 낮잠 시간 때문에
밤잠 시간이 늦어지거나 자주 깬다면
낮잠 시간을 15분씩 차차 줄여볼 필요가 있어요.
조금씩 낮잠 시간을 단축시키고
밤잠 시간을 앞당기면서
이상적인 수면 스케줄을 만들어보세요.


낮잠을 너무 짧게 자는 경우 

낮잠은 평균 1~2시간 재운다
생각하는 것이 좋아요.
예를 들어 45분 정도만 자고 아기가 깬다면
원인이 될 수 있을 네 가지를 알려드릴게요.

1. 잠자는 환경
잠자는 환경 조성은 아주 중요한데요.
잠잘 아이의 방이 충분히 어둡고,
아기 침대 안의 자극을 최대한 없애줘야 해요.
잠자는 방의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경우,
기저귀로 인한 발진이 생긴 경우 등
잠자리가 불편할 때에도 잠을 길게 자지 못해요.



2. 깨어 있는 시간
깨어 있는 동안 했던 놀이 활동이
너무 자극적이었다거나
깨어있을 때의 규칙적인 루틴이
깨어진 경우 낮잠을 길게 자지 못해요.

3. 엄마의 상태
모유를 적정량 먹이지 못했거나,
먹이는 자세가 이상했거나,
평소보다 예민해져 아기를 재우는 과정에서
특이사항이 있었다면
아기가 잠에서 빨리 깰 수 있어요.



4. 아이의 상태
아기가 배고프면
잠을 길게 못 자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아이가 수유 텀에서
충분히 먹지 못했거나,
급성장기가 시작되었거나,
이유식을 시작해야 할 시기일 경우 그럴 수 있어요.

또는 아픈 초기 상태일 경우
잠을 길게 못 자요.
예를 들어 미열이 있다거나,
이가 나고 있거나,
중이염이 시작되고 있는 경우 그럴 수 있어요.



수면 무호흡증

소아 수면 장애성 호흡,
아 폐쇄 수면 무호흡증이라는
수면 장애가 있을 수 있어요.
이런 경우 심한 코골이가
수면 도중에 발견돼요.
병원에서도 쉽게 진단받기 어려운
수면 장애 문제기 때문에
아기를 잘 관찰하셔서
이러한 유형의 수면 장애가 있는지
체크해 보시는 게 좋아요.
편도가 지나치게 커지는
아데노이드 질병이 있는 경우에는
잠잘 때 호흡에 사용되는 근육이 이완되면서
편도가 아이의 숨길을 막아요.
산소가 부족해져서
아기는 힘겨운 코골이를 통해
산소 포화도를 회복시키려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아기의 뇌가
아이를 억지로 깨우게 돼요.
수면 도중 호흡 장애로 인한 스트레스가
장기간 지속될 경우,
아이는 인지적, 감정적으로
ADHD와 유사한 성향을 드러나게 돼요.



아이의 수면 문제가 정상적인 심리적,
정신적 기능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제대로 인지하셔야 해요.
아이의 수면을 소홀히 하시지 마시고
적극적으로 관리해 주셔서
아이의 건강한 수면 습관을 만들어주세요!

출처
1) 로리/<똑게육아>/북로스트/2022/309면
2) 메슈워커/<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열린책들/449면
3) 힐팁 http://www.healtip.co.kr>](<http://www.healtip.co.kr/

우리 아기 수면 문제
걱정되신다면
베투키 AI 큐레이션 서비스로
아기 건강 상태를 자가진단해 보세요!


Copyright Betoki Inc. All right reserved

고객센터번호   070-8949-6413 
(운영시간: 평일 10:00~18:00)

주식회사 베투키 
대표이사: 장지나 ㅣ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오창중앙로 123-12 1동 402호 ㅣ070-8949-6413
사업자등록번호:254-86-02860 [사업자정보확인]
통신판매업신고:2023-충북청주-1527 

E-mail: betokilab@gmail.com


Copyright 2023 betoki. All Rights Reserved.

고객센터번호   070-8949-6413 (운영시간: 평일 10:00~18:00)

Copyright 2024 Betoki. All Rights Reserved.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